아침에 일어나 주섬주섬 시계를 찾아 확인해보니 벌써 8시였다. 화들짝 놀라 일어났는데 내가 누워있던 방은 창문은 있으나마나 아주 작은 환기구 역할을 하던 것 뿐이었고, 침대 2개를 제외하고는 아무런 공간이 없는 매우 좁은 방이었다. 방도 그리 깨끗하다고 느껴지지 않은 그런 방이었는데 이런 싸구려 방이 7달러였다. 다른 도시에서는 7~10달러 사이면 그럭저럭 괜찮은 방에서 머물수 있었는데 확실히 양곤은 10달러 이상이어야 괜찮은 방에서 잘 수 있었다.
어쨋든 중요한 것은 방의 상태가 아니라 바로 아침식사였다. 이 7달러짜리 싸구려 방에서 머물면서 화이트 게스트하우스의 자랑인 부페식 아침을 놓친다면 거의 3달러 이상을 버리는 셈이었다. 게다가 난 배낭여행자인데 아침식사를 포기하고, 밖에 나가서 먹을 정도로 부유하지도 않았다.
얼른 씻고 아침을 먹으러 내려갔다. 있는데로 다 집어먹고, 후식으로 과일까지 먹으니 무척 배불렀다. 이정도면 점심까지도 문제없을거라 생각될 정도였다.
곧바로 나는 배낭을 메고 체크아웃을 했다. 어차피 양곤에서의 마지막 날이었지만 이 7달러짜리 방도 나에겐 사치라고 여겨졌다. 남은 돈도 얼마되지 않아서 하루를 버티기에도 버거울 정도였는데 돈을 아낀다는 생각으로 숙소를 옮기기로 결정한 것이다.
양곤에 처음 도착했을 때 묵었던 마하반둘라 게스트하우스로 이동했다. 가격은 4달러로 무지하게 저렴하지만 숙소는 가장 허름했는데 나에게는 그냥 하루 머물기에는 충분했다. 밖으로 나오니 날은 무지하게 더웠다. 배낭을 메고 돌아다니는 내가 너무 어색하게 느껴졌다.
마하반둘라 게스트하우스 부근에 도착하니 아저씨가 나를 보며 미소를 지었다. 마하반둘라 게스트하우스 아저씨였는데 나를 기억하고 있던 것이다. 괜히 반가웠다. 올라가서 할아버지와 다시 대면했고, 체크인을 했다. 4달러를 지불했는데 중간에 포함되어 있는 허름한 돈은 역시 받지 않았다. 할아버지는 우리같은 사람들은 이런 손상된 돈은 받으면 껄끄럽다는 이야기를 하며 공항에서는 사용이 가능할거라 일러줬다. (하지만 공항에서도 사용이 불가능했다)
마하반둘라 게스트하우스의 방은 창문도 없을 정도로 열악하기는 했으나 좁디 좁은 화이트 게스트하우스보다 낫다고 생각했다. 짐을 놓고 무작정 밖으로 나갔다.
"Change money?"
뭔가 음흉한 듯한 미소를 띈 이들은 환전을 하려는 외국인들을 보면 항상 접근을 해온다. 그러면서 허리춤에 있는 1000짯 뭉치를 꺼내 보이는데 "No!"라고 대답하면 금세 다른 친구가 와서 환전을 하겠냐고 물어본다. 친근함의 표시로 나에게 먼저 인사부터 한다.
"곤니치와?"
이런...
그런데 나중에 계산을 해보니 300짯을 줬다고 생각했던 나는 250짯만 줬다는 사실을 알게됐다. 스템플러에 찍힌 10짯짜리 5개 뭉치를 100짯으로 착각해서 생긴 문제였는데 괜히 옥수수 아저씨에게 미안해졌다. 속이려고 한 것은 아니랍니다.
옥수수를 구입하고나니 1500짯만 남았다. 다음날 새벽에 공항으로 가는 택시비 4000짯만을 남겨두고 말이다. 사실 공항까지도 보통 5000짯정도 하는데 무슨 당당함인지 4000짯에 깎을 수 있을거라 생각했던 것이다. 남은 1500짯으로 할 수 있는 일이 뭐가 있을까?
거리에서 보였던 꼬치는 먹어보지 못해서 조금 아쉬웠는데 작은 통 옆에 여러 내장을 팔고 있던 형태인데 사람들은 그 통 주변에 앉아 꼬치를 소스에 담궈 먹었다. 생김새가 좀 이상해서 쉽게 도전할 마음은 생기지 않았지만 이상하게 먹어보려고 하면 보이지 않았다.
바로 옆에는 횡단보도가 그려져 있지 않았던 도로에 많은 차량이 지나다니고 있었다. 버스나 픽업트럭 등이 손님을 기다리고 있었는데 사람이 타도 금방 출발하지 않았다. 아마 일정 수의 손님이 타지 않으면 출발하지 않는듯 했다. 픽업트럭이나 버스를 보면 꼭 손님을 불러 모으는 역할의 직원이 존재하는데 손가락 사이에 돈을 끼우고는 사람들을 보고 얼른 오라는 신호를 보낸다.
옥수수를 담은 봉지를 들고 숙소로 돌아가는데 신기한 장면을 봤다. 거대한 얼음이 놓여져 있고 그 아래에는 용기가 있는데 컵으로 물을 담아 얼음 위에 붓기를 반복하는 것이었다. 그렇게 떨어지는 물은 얼음을 거치니 시원해지고, 그걸 물병에 담아서 팔고 있었다. 누구라도 느끼는 생각이지만 이 거리에서 먼지나 매연에 의해서 지저분할 것으로 생각되는데 물을 담아서 팔다니 좀 이상하게 느껴지기까지 했다.
'지난 여행기 > 밍글라바! 아름다운 미얀마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얀마에서 한국 자장면을 먹어볼 줄이야 (30) | 2010.12.14 |
---|---|
우리 입맛에 잘 맞는 미얀마 음식 샨 카욱쉐 (17) | 2010.12.02 |
시장 분위기 나는 양곤 거리 (33) | 2010.12.01 |
양곤 차이나타운에서 맥주와 함께 밤을 지새우다 (28) | 2010.11.30 |
미얀마 양곤에서 관찰한 부분일식 (49) | 2010.11.29 |
그가 마마라고 부르는 사람은? (22) | 2010.11.28 |
미.. 미얀마인것 인가요?
정말 한국의 시장분위기와 많이 비슷할 것 같은데요?
요새는 한국에서도 이런 분위기의 시장을 찾아보기 무척 힘들죠....
무언가 낯설지 않게 느껴졌을것 같습니다.
저 또한 사진으로 볼때 낯설게 느껴지기보다는 저곳에 가고 싶은 생각이 드는 것을 보니까...
정말 우리네 시장모습과 크게 다를바 없는것 같아요.
어딜 가든 시장분위기는 다 비슷한것 같다는...
역시 시장 은 재레 시장^^
갑자기 우리네 70년대의 모습이 눈에 그려지는 듯 하네요.
1500짯은 무엇에 쓰셨는지..
4000짯으로 공항에 무사히 가셨는지.. ^^ 다음 편이 기대됩니다.
시장의 풍경은 어디나 비슷하네요~ ^^
정말 한국의 시장과 비슷하네요
평범하면서도 그들의 삶이 그대로 전해지는
익숙한 풍경입니다~
동양인에게 곤니찌와 하는 사람들을 볼때마다. 속이 확!!
아이스크림 맛있겠는데 별로라고 하니 살짝 .ㅠ.ㅠ
오랫만에 글 한번 올려보네요.
그런데 약간 어색한 질문일지도 모르것지만...
왜 그렇게 항상 가난한 여행을 추구하시는지?
그냥 돈좀 더 벌어서
훗날에 가면더욱 재미있게 놀수 있지않습니까?
외국 아가씨들하고도 같이 놀아봐야죠 젊으니깐....
씹는 담배는 삐루나라고 해서 남태평양의 어느 섬나라에서 본기억있는데..
우리나라 대추비슷한 열매를 씹으면 빨간 물같은게 나와서 침을 뱉고는 하던데..
비슷한건가요?
왠지 복잡하면서도 재미있네요.
한국 시장은 너무 북적인다고 할까.. 너무 몰려 있는데 비해서 양곤의 시장은
그래도 여유 공간이 있네요.
트럭에 사람들도 많이 타고 지나가고.. 참 재미있는 풍경입니다. ^^
어이쿠, 돈이 아주 그냥~ ^^;;
지갑안에 넣고 싶지 않은걸요.
돈의 상태가 지존입니다. 특히 뒤쪽에 살짝 숨은녀석은 -ㅁ-;;
시장분위기는 어디서 느껴도 좋은법인데, 멀리서 좋은 느낌을 받으신것 같아요 ㅎ
오랜만에 들러봅니다. 요즘 일상에 치여 우울증에 걸릴 지경입니다. 훌쩍 떠나고 싶은 마음에 들러보니 그 마음에 기름을 붓게 되네요;;;
다음주에 좀 한가해지면 가까운 곳이라도 다녀와야 하겠습니다 ^^
반갑게 나에게 말을 건다 곤니치와^^
하루라도 더 빨리 우리나라의 민간외교가 더 큰힘을 발희해야 겠어요^^
동남아시아권은 확실히 더운거 같아요
아이스크림은 정말 최고죠 ㅋ
시장분위기는 어느나라가도 분위기는 비슷한 것 같아요.
시장이 아니라는 답글 보고 왔습니다.
"헉......."